오피스의 외부는 외단열 시스템과 백색 페인트로 담백하게 마무리하고, 위아래로 긴 형태의 창문을 반복해서 설치하여 실내 어디에서나 유사한 조도를 확보하도록 했습니다.
단독주택은 부모님과 건축주의 생활상에 맞추어 공간을 계획했습니다. 부모님 층의 평면은 기존에 살던 주택의 방의 크기와 배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기존의 가구와 살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익숙한 새집’이 되도록 했습니다.
테라스는 장독대를 두고 화분을 가꾸는 공간이 되도록 하여,
기존 주택에서 사용하던 마당을 대신하도록 했습니다.
복층으로 구성한 부부의 공간은 거실과 침실의 천장을 높여 개방감을 주었습니다.
자녀들의 방은 박공지붕의 외부 형태를 내부 천장의 모양에 반영하여
방마다 개성있는 공간감이 느껴지도록 했습니다.
모든 방에 각자의 테라스를.
건물이 놓인 대지의 장점은 전망입니다. 멀리 보이는 어린이 대공원과 남산타워의 멋진 조망이 있습니다. 상층부에 올린 단독주택에는 주변의 전망을 향해 테라스, 옥상마당, 전망대를 두고 이를 집의 내부공간과 연결했습니다.
어르신들이 독립적인 생활을 하시면서도 은근하게 연결된 느낌을 주기 위해 부부의 층으로 향하는 길에 테라스 마당을 두었습니다. 자녀들의 방 앞에는 높은 벽으로 둘러싸인 테라스 마당이 있어서 벽에 반사된 자연광이 실내를 밝힙니다. 모든 방에는 외부의 전망과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들일 수 있는 테라스를 두었습니다.
모든 방에 가족 구성원들이 원하는
'코너 공간'을 하나씩 두었습니다.
딸과 아들이 만나는 패밀리 코너
가족들은 각자의 방에 침실과는 별도로 취미활동을 할 수 있는 부속실을 원했습니다. 우리는 이런 작은 부속실을 ‘코너 공간’이라고 부르기로 하고, 모든 방에 가족 구성원들이 원하는 코너를 하나씩 두었습니다.
건축주 내외의 침실에는 작은 서류 책상이 있는 서재 코너를 만들었고,
음악을 전공하는 딸의 방에는 피아노 코너를 두었습니다.
하키를 좋아하는 아들의 방에는 운동 기구를 정리할 수 있는 스포츠 용품 코너를 만들었습니다.
모든 가족이 각자의 공간 안에서 새로운 분위기로 꾸밀 수 있는 ‘방 속의 작은 방’을 하나씩 가지게 되었습니다.